김세린9
-
FDSC.txt/공지
FDSC.txt Vol.2: 생산과 멈춤 ② | FDSC.txt 폰트 Ver.2, 2023
FDSC.txt 폰트 Ver.2 폰트 FDSC.txt는 'FDSC.txt'가 글을 담는 플랫폼인 만큼, 로고타입 자체가 서체의 일부이면 좋겠다는 의도로 제작된 동명의 라틴 서체입니다. 지난 2020년 공개된 Ver.1을 토대로 조금 더 활용성있는 형태로 개선되었습니다. 분절하지 않은 형태의 글자를 추가하여 대체글리프를 통해 기호에 맞게 다양한 표현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 글자 너비 변화를 줄여 문장에도 쓸 수 있는 형태로 새롭게 제작되었습니다. *FDSC.txt 폰트는 2023년 1월 『FDSC. txt Vol. 2: 생산과 멈춤』 도서의 텀블벅 후원자 분들에게만 한정 판매되었습니다. 기획 및 편집 | 김나영, 김선해, 김세린, 김해인, 김현중, 노윤재, 박유진, 우나경, 이예연, 하형원대장 | ..
2024.10.24 -
FDSC.txt/공지
FDSC.txt Vol.2: 생산과 멈춤 ① | 도서 발행, 2023
디자이너가 이야기하는 생산과 멈춤의 이야기FDSC.txt Vol.2: 생산과 멈춤『FDSC.txt Vol.2: 생산과 멈춤』 은 '생산'과 '멈춤'이라는 주제를 가진 두 권의 책이지만, 하나의 물성으로 서로 이어져 있습니다. ‘생산produce’에서 읽기 시작하면 어느새 ‘멈춤pause’을 만나 위로와 공감을 얻게 되고, ‘멈춤pause’에서 읽기 시작하면 ‘생산produce’의 글을 통해 자신 안에 작동하는 에너지를 만나게 되는 힘을 가진 책입니다. 상반된 주제를 다룬 이야기들 속에 여성 디자이너의 다양한 목소리와 시선이 서로 잇고, 이어져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생산 Produce오늘도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상대하고, 회사나 조직이 설정한 목표나 요구를 파악해가며 열심히 일했습니다. 우리는 ..
2024.10.24 -
FDSC.txt/인터뷰
[페디소 인사이드 04] 김을지로 3D 아티스트 : Quarantine Etudes 프로젝트 인터뷰
[페디소 인사이드]는 디자이너 눈에만 보이지만, 알고 나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인터뷰 시리즈입니다. 이번 [페디소 인사이드]의 주제는 ‘생산자로서의 디자이너’로, 자신에서 출발한 무언가를 직접 생산하길 욕망하고 실행하는 생산자로서의 디자이너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페디소 인사이드' 네 번째 주인공은 3D 아티스트 김을지로 님입니다. 김을지로 님은 작가와 디자이너의 포지션을 오가며 3D 그래픽 위주의 작업을 합니다. 이번 인터뷰에서는 산 사람 빼고,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자칭 타칭 3D 연금술사, 김을지로 디자이너와 함께 최근에 참여한 〈Quarantine Etudes〉 프로젝트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고, 더불어 3D로 자신의 욕망과 흥미를 시각화하는 ‘생산자’로서의 이야기를 ..
2022.02.06 -
FDSC.txt/인터뷰
[페디소 인사이드 03] 조열음 디자이너 : 로우클래식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페디소 인사이드]는 디자이너 눈에만 보이지만, 알고 나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인터뷰 시리즈입니다. 이번 [페디소 인사이드]의 주제는 ‘생산자로서의 디자이너’로, 자신에서 출발한 무언가를 직접 생산하길 욕망하고 실행하는 생산자로서의 디자이너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세 번째 주인공은 조열음 디자이너입니다. 조열음 디자이너는 인하우스 디자이너로 브랜드의 니즈에 따라 아이덴티티, 그래픽, 패키지, 인쇄물, 패턴 등의 다양한 매체에 컨셉을 풀어내는 일을 합니다. 의류 브랜드 로우클래식에서 4년간 근무했고, 현재는 코스메틱 브랜드 탬버린즈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www.notion.so/03-0b43a5771d2f4c239708234a626790e3
2022.02.06 -
FDSC.txt/인터뷰
[페디소 인사이드 02] 조민정 디자이너 : Working Paper Light 프로젝트
[페디소 인사이드]는 디자이너 눈에만 보이지만, 알고 나면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디자인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인터뷰 시리즈입니다. 이번 [페디소 인사이드]의 주제는 ‘생산자로서의 디자이너’로, 자신에서 출발한 무언가를 직접 생산하길 욕망하고 실행하는 생산자로서의 디자이너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 작업 누가 했을까?”, “이 박스 어떻게 만들었을까?”, “이 종이는 뭐지?”. 페디소 인사이드 두 번째 주인공은 프래그 스튜디오의 조민정 디자이너 입니다. www.notion.so/02-Working-Paper-Light-51226c1066064567b45411f93dbad514
2022.02.04 -
FDSC.txt/아티클
[멈춤.txt] 페미니스트 디자이너가 말하는 ‘멈춤’에 대한 이야기
코로나19의 유행 속에 ‘멈춤’은 꽤 익숙한 키워드였습니다. 바이러스는 일상에 불편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수없이 반복하며 익숙한 것, 동화된 것을 멈추고 다시 바라보게 했습니다. 이번 가을, FDSC.txt 글쓰기 모임에서는 멈춤을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일터에, 관계에, 마음에, 삶의 터전에 기존의 작동을 멈추고 달라붙어 있던 익숙함을 떼어내는데 꽤 큰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어디로 나아가게 될까요? 생산으로 질주하는 시대 페미니스트 디자이너가 말하는 ‘멈춤’에 대한 이야기를 건넵니다. FDSC편집국 기획・운영: 이예연 회계: 김해인 홍보・디자인: 노윤재 대외협력: 김나영 편집・게시: 김나영, 김세린 도움 주신 분: 조은혜
2022.02.04 -
FDSC.txt/인터뷰
김세린, 권수진 디자이너의 ' 페디소 인사이드 : 조열음 디자이너'
패션 브랜드가 만든 ’뮤지엄’은 어떻게 보여줄 수 있을까 고민을 많이 했어요. 포괄적이긴 하지만 뮤지엄 그 자체를 콘셉트로 정했어요. 실제 미술관이나 박물관에 전시를 보러온 듯한 느낌을 주고 싶어서 초대장에 들어가는 애플리케이션도 전형적으로 보이도록 디자인했어요. 인터뷰 시리즈가 돌아왔습니다! 그 세 번째 글은 김세린, 권수진 디자이너가 진행한 조열음 디자이너 〈로우클래식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인터뷰입니다. 패션쇼를 전시 형태로 독특하게 접근한 LOW MUSEUM 아이덴티티와, 세심함이 돋보이는 LOW CLASSIC 심볼 리뉴얼 작업. 그리고 인하우스 디자이너로 일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열음님의 멋진 작업과 함께 자세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www.notion.so/fdsc/03-0b43a5771d2f4..
2021.03.22 -
페미니스트 디자이너를 소개합니다
김세린 디자이너를 소개합니다
김세린 디자이너는 국문학과 시각디자인을 공부하고, 디자인 에이전시 ‘홍디자인‘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근무했습니다. 현재는 살롱 문화 기반의 소셜 클럽인 ‘취향관‘에서 그래픽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으며 책의 물성을 탐구하는 모임 ‘책구멍’의 구성원이기도 합니다. 그래픽 디자인을 기반으로 경계 없이 표현하고 발전시키며 다양한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serinwworks
2021.03.17 -
FDSC 소식
FDSC 포트폴리오 리뷰, 2019
2019년 9월 29일, FDSC는 WRM의 지원을 받아 포트폴리오 리뷰와 타운홀 토크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포트폴리오 리뷰는 FDSC 멤버가 멘토가 되어, 그래픽 디자인 분야 취업 희망자의 포트폴리오를 함께 보고 조언하는 자리입니다. 일시 9월 29일(일요일) 오전 11시~오후 4시 오전 11시(기업+에이전시), 오후 2시(출판+포스트 출판, 엔터+미디어) 장소 잔다리로3안길 46 (서교동) whatreallymatters L층(로비층, wrm space) 대상 그래픽디자이너로 취업을 준비하는 학생 및 졸업생(경력 1년 이하) 주최 및 기획 김소미, 이지선, 권아주, 장윤정, 김세린 촬영 곽은진, 우유니, 백나은 후기 사전에 포트폴리오를 정말 꼼꼼히 봐주신 것 같아 감동이었습니다. 우선 리뷰를 받는 것..
2021.03.11